환삼덩굴은 열을 내리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며 어혈을 없애고 몸 안에 있는 독을 풀어 주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환삼덩굴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환삼덩굴 효능 및 부작용
환삼덩굴 이란?
환삼 덩굴은 뽕나무과로 1년초 한해살이풀로 산기슭이나 길가, 빈터 등에서 자생합니다. 번식력이 왕성하며, 칡처럼 덩굴로 주변 식물을 타고 올라가 그늘지게 하여 죽게 하는 골치 아픈 잡초지만, 약성이 뛰어난 약초입니다.
줄기에는 잔가시가 선으로 일렬로 나 있는데, 스치면 상처가 나기 때문에 ‘껄껄이풀’이라고도 합니다. 환삼덩굴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 두꺼운 긴 바지와 장갑을 끼고 들어가야 하며, 맨손으로 약재를 채취하여서는 안 됩니다.
참고로 환삼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쇠붙이를 쓸거나 깍는 줄칼처럼 쓰는 연장을 '환' 이라고 부르는데 환삼덩굴의 따가운 잔가시가 그 환을 닮았으며 잎은 '삼'처럼 생겼다고 하여 '환삼덩굴'이라는 이름이 붙여 졌다고 합니다.
환삼덩굴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수시로 채취하며, 썰어서 그늘에 말린 후 차로 마시거나 약재로 이용합니다. 꽃과 뿌리도 약재로 쓸 수 있으나, 꽃가루가 날리게 되면 호흡이 곤란할 정도입니다. 8월에 꽃이 피기 전에 채위를 하시는 것이 가장 적당하고 좋다고 합니다.
환삼덩굴의 생약명은 '율초' 이며 꽃은 '율초화' 뿌리는 '율초근' 이라고 하여 전초를 약재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환삼덩굴 주요 효능
혈관 건강
환삼덩굴은 특히 고혈압에 효험이 뛰어난 약재로 알려져 있습니다. 환삼덩굴을 먹으면 혈압이 정상에 가깝게 내려간다고 합니다. 또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어 피를 맑게 해주고 혈관에 쌓인 노폐물을 제거하는 효능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맥경화나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혈관 질환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또 환삼덩굴은 혈압으로 인한 수면 장애나 두통, 시력장애, 심장이 답답한 증세에도 좋은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이뇨작용
환삼덩굴은 사실 신장의 화(火)를 다스리는 명약이라고 합니다. 환삼덩굴은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화로 인한 염증 완화에 효과적 이며, 신장을 통해 몸 속의 노폐물을 배출시켜주어 방광염, 신장염 치료에 탁월한 효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배뇨통 빈뇨, 잔뇨 등의 원인인 전립선염에도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이밖에도 소변을 보실때 통증이 있거나 혈뇨가 있으신 분들에게 특히 좋으며 요도결석을 제거하는 데도 뛰어난 효능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기관지 및 폐 건강
환삼덩굴은 기관지 건강에 도움을 주는 식물로 기침에 좋으며 기관지염이나 감기, 천식 등을 효험이 있습니다. 또한 환삼덩굴은 폐를 튼튼하게 하며 폐질환 즉, 폐결핵이나 폐렴, 폐농양 등에도 좋은 효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환삼덩굴의 열매와 꽃을 함께 드시면 결핵균을 제거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염증억제
우리 몸의 정상적인 면역반응 중 하나인 염증이 과다하게 늘어나게 되면 각종 만성질환들의 발병 위험인자로 작용하게 됩니다. 환삼덩굴의 뛰어난 항염작용은 신체 곳곳에 발생한 염증의 수치를 감소히키는데 도움을 주어 면역력 증진 효과 및 각종 염증성 질환들의 예방에 이로운 작용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 환삼덩굴의 이러한 뛰어난 항염작용으로 피부 관련 염증성 질환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피부염과 아토피 등의 증상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항산화작용
체내 유입된 산소는 정상적인 대사작용을 돕는 작용을 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 중 반응성이 아주 높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 같은 활성산소가 과다하게 늘어날 경우 세포의 산화를 촉진하고, 손상시켜서 각종 질병 발생의 원인이 됩니다. 환삼덩굴에는 뛰어난 항상화물질인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비율이 높아서 과잉으로 생생된 활성산소의 농도를 줄여주는 항산화작용에 이로운 작용을 하게 됩니다.
그 외 효능
환삼덩굴은 예민해지고 초조해진 신경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불면증과 우울증 등의 여러 증상을 완화시켜주는데 좋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질과 설사, 소호불량, 임파선염, 치질 등의 증상 완화를 돕는 치료제로써도 이용된다고 합니다. 그 외 독을 중화시키는 효과도 가지고 있어서,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뱀이나 해충 등에 물렸을 때 이를 치료하는 해독제로써도 많이 이용을 해왔다고 합니다.
환삼덩굴 부작용
환삼덩굴은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설사와 복통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맥이 약하거나, 소화력이 약한 사람, 몸이 찬사람,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이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그리고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만큼 너무 장기간 복용하는 것보다는 텀을 두고 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길거리에서 자란 환삼덩굴은 농약 등에 오염됐을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깨끗한 곳에서 채취하여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환삼덩굴 먹는법
환삼덩굴 쌈
4월 말부터 나오는 새순을 쌈으로 먹습니다. 또는 5~6월에 환삼덩굴 어린잎을 따서 쌈으로 먹습니다. 약간 까칠할 수 있지만 깻잎 등과 함께 먹으면 까칠함을 느끼지 못한다고 합니다. 생잎을 다른 잡초와 함께 비빔밥으로 먹기도 합니다.
환삼덩굴 절임
6~7월의 잎사귀를 깻잎김치 담그듯 환삼덩굴김치나 절임으로 만들어서 먹으면 좋습니다. 담그는 방법은 깻잎김치를 만들 때와 같습니다. 먼저 마늘과 고춧가루, 양조간장, 파, 깨소금 양념장을 만들어 한 잎 한 잎 포개어 절입니다. 간장에 살짝 쪄서 먹어도 좋습니다. 또한 깻잎이나 콩잎처럼 된장에 넣어서 7일 정도 숙성시켜 먹기도 합니다. 소금물에 절여서 양념해서 먹어도 좋습니다.
환삼덩굴 데치기
환삼덩굴 잎을 살짝 데칩니다. 데쳐서 나물무침으로 먹기도 하고 채소 샤부샤부로 해서 소스에 찍어 먹기도 합니다.
환삼덩굴 분말
억센 잎을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말려서 바싹해졌을 때 가루로 만들어 줍니다. 주스나 우유에 타서 먹거나 밥에 비벼 먹거나 샐러드에 뿌려먹습니다.
환삼덩굴 차
잎을 그늘에 잘 말립니다. 차로 내어 먹기도 하고 끓여서 음료수처럼 냉장고에 넣고 먹기도 합니다. 잎에 묻은 먼지 등을 씻는 의미에서 첫 물은 버리고 두 번째 물을 우려서 먹습니다.
지금까지 환삼덩굴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개된 정보들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 하루도 행복하고 건강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건강 정보 > 음식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즈힙 효능과 부작용 (feat. 로즈힙퓨레 먹는법) (0) | 2022.07.14 |
---|---|
우뭇가사리 효능 (0) | 2022.07.06 |
비파 효능 (0) | 2022.06.28 |
진득찰 단백질 효능 (0) | 2022.06.20 |
호랑이콩 효능 (0) | 2022.06.13 |
댓글